수술실에 들어온 의료기기업체 직원, 어디까지 괜찮을까?

수술실에 들어온 의료기기업체 직원, 어디까지 괜찮을까?

2025. 7. 21.

2025. 7. 21.

실제 사례로 알아보는 ‘무면허 의료행위’ 기준과 병원 측 유의사항

🧪 수술실 출입, 의료기기 업체 직원이면 무조건 불법?

최근 몇 년 사이, 의료기기업체 직원의 수술실 출입이 형사처벌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기기 조립을 돕거나 수술을 보조하다 무면허 의료행위로 간주되어 처벌된 경우도 적지 않은데요.

하지만 단순 출입만으로는 무조건 위법이라 볼 수 없습니다.
수술실 내에서의 '행위의 범위'가 핵심입니다.

⚖️ 관련 법령 정리

  • 의료법 제27조 제1항

“의료인이 아니면 누구든지 의료행위를 할 수 없으며, 의료인도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할 수 없다.”

  • 위반 시 처벌
    •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 (의료법 제87조의2)

    • 보건범죄단속특별조치법 적용 시 무기 또는 2년 이상 징역 + 벌금 병과

  • 경제적 이익 수수 시
    •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 벌금 + 이익 추징(의료법 제88조)

⚠️ 실제 수술실 사례로 보는 위법 여부

✅ [적법 판단] 단순 기기 설명 & 납품 보조

사례 :
  • 인공수정체 공급 업체 직원이 백내장 수술에 입장
  • 단순 포장 해체, 기기 설명 등 '비접촉' 보조
➡️ 불기소 처분, 오히려 실무 효율성 인정

❌ [위법 판단] 환자 접촉 또는 직접 시술 보조

사례:
  • 정형외과 수술 중 직원이 기기 조립 지원, 위치 안내
  • 척추 수술 중 기구 세팅, 삽입 위치 보정
➡️ 의료법 및 보건범죄특별법 위반, 유죄 확정

공통 판단 기준:
‘직접 접촉’ 여부뿐 아니라,
"의료인의 고유한 업무를 대신했는가?"가 법적 판단의 핵심입니다.

🚫 병원이 반드시 인지해야 할 위법 행위

아래 행위를 의료기기 업체 직원이 했다면?
  • 환자 조직 박리
  • 근육 견인, 체액 흡인
  • 보형물 고정, 봉합 보조
➡️ 이는 무면허 의료행위 + 경제적 이익 수수로 형사처벌 대상입니다.

✅ 병원 입장에서 기억해야 할 포인트

  1. 수술실 출입 자체는 위법 아님
    • 단, 행위 내용에 따라 판단 달라짐
  2. 단순 설명·납품 목적 출입은 허용
    • 법적으로 ‘의료행위’가 아니면 가능성 열려 있음
  3. 환자 접촉·진료보조는 철저히 금지
    • 수술 전 역할범위 사전협의 필요
  4. 수술실 동선, 업무분장 체크리스트 필요
    • 병원 자체 매뉴얼로 리스크 관리 강화 권장

🧩 결론

의료기기 직원의 수술실 출입은 반드시 ‘행위의 실질’로 판단해야 합니다.
‘보조’인지 ‘대리’인지, 환자에게 접촉했는지 아닌지가 핵심입니다.
병원은 실무 편의성만 고려하지 말고
관련 법령과 판례, 유권해석에 근거한 안전한 기준을 갖춰야 합니다.

(주) 리걸케어

개인정보 처리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주)리걸케어 | 대표 : 김용범 | 고객센터 : 1577-9325 | 사업자등록번호: 199-88-01627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582, 4층 402호 | 문의메일 : cs@legalcare.ai

Copyright © LEGALCARE All rights reserved.

(주) 리걸케어

개인정보 처리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주)리걸케어 | 대표 : 김용범 | 고객센터 : 1577-9325 | 사업자등록번호: 199-88-01627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582, 4층 402호 | 문의메일 : cs@legalcare.ai

Copyright © LEGALCARE All rights reserved.

(주) 리걸케어

개인정보 처리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주)리걸케어 | 대표 : 김용범 | 고객센터 : 1577-9325 | 사업자등록번호: 199-88-01627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582, 4층 402호 | 문의메일 : cs@legalcare.ai

Copyright © LEGALCAR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