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퇴사 손해배상: 병원 직원 갑자기 그만두면? 민법 제660 기준과 판례

무단퇴사 손해배상: 병원 직원 갑자기 그만두면? 민법 제660 기준과 판례

2025. 7. 23.

2025. 7. 23.

무단퇴사 손해배상은 ‘민법 제660 요건 충족 + 실제 손해 입증’이 핵심입니다.

🏥 병원 직원의 무단퇴사, 손해배상 청구 가능할까?

무단퇴사 손해배상은 원칙적으로 가능하지만, 민법 제660 충족실제 손해 입증이 필요해요.

⚖️ 민법 제660 — 고용계약 해지의 기본

  • 기간 정함이 없는 고용은 해지 통보 후 일정 시점에 효력 발생.
  • 직원이 “내일부턴 안 나가요”라고 하고 곧바로 결근하면, 유효한 해지 상태가 아님무단퇴사로 평가될 수 있어요.

💥 무단퇴사 = 손해배상? 관건은 ‘입증’

다음 두 가지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법적 판단 포인트

  1. 퇴사 방식민법상 퇴사 요건을 충족했는가?
  2. 실제 손해가 발생했고, 그 손해가 퇴사와 인과관계가 있는가?

🧾 사례 —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가단5281957

  • 마케팅 직원 B가 일방 통보 후 출근 중단 → 병원 광고·고객응대 공백 발생 주장.
  • 판결 요지: 무단퇴사 자체는 문제지만, 손해액 인정은 입증 부족.
  • 포인트: 퇴사 전후 매출 추이·대체 인력 투입 비용 등 객관 자료로 인과관계를 보여야 함.
📉 이 사건에서는 퇴사 전 매출 감소폭이 크고,
오히려 퇴사 후 매출 하락 폭이 줄어들어
“직원 퇴사가 직접적인 손해 원인이 아니다”라는 판단

🧰 실무 체크리스트 — 입증자료 무엇을 모을까

  • 매출/예약/콜로그 전후 비교표, 광고계정 운영 로그
  • 대체 인력 급여·용역비 영수증, 초과근로 수당 지출 기록
  • 고객 CS 지연·클레임 타임라인 및 해결비용

📌 실무 대응 정리: 직원 무단퇴사 시 액션 플랜

단계

할 일

주의할 점

1단계

퇴사 통보 수령 시 정식 퇴사일 확인 요청

퇴사일 기준으로 법적 판단 달라짐

2단계

인수인계 누락 또는 업무 공백에 따른 피해 사실 문서화

예: 환자 응대 문제, 매출 감소 내역 등

3단계

손해 입증 가능한 증빙 확보

계약서, 매출 자료, 업무 프로세스 혼선 등

4단계

법률 전문가 상담 후 손해배상청구 여부 판단

무리한 소송은 역효과 주의

🔐 예방책 — 계약서 단계에서 막기

  • 퇴사 예고 기간 명시(예: 30일 전)
  • 위약벌/손해배상 예정 조항 (업무 공백, 교육비 등 기준)
  • 인수인계 의무와 불이행 시 조치(인계 체크리스트 첨부)
Tip. 위약벌이 있다면 실제 손해액 입증이 어려워도 분쟁 대응력이 커집니다.

🧠 핵심 요약

  • 무단퇴사 자체는 위법 소지(민법 위반)
  • 손해배상은 실제 손해 + 인과관계 입증이 필요
  • 계약서에 예고·위약 조항을 넣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예방책



(주) 리걸케어

개인정보 처리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주)리걸케어 | 대표 : 김용범 | 고객센터 : 1577-9325 | 사업자등록번호: 199-88-01627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582, 4층 402호 | 문의메일 : cs@legalcare.ai

Copyright © LEGALCARE All rights reserved.

(주) 리걸케어

개인정보 처리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주)리걸케어 | 대표 : 김용범 | 고객센터 : 1577-9325 | 사업자등록번호: 199-88-01627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582, 4층 402호 | 문의메일 : cs@legalcare.ai

Copyright © LEGALCARE All rights reserved.

(주) 리걸케어

개인정보 처리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주)리걸케어 | 대표 : 김용범 | 고객센터 : 1577-9325 | 사업자등록번호: 199-88-01627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582, 4층 402호 | 문의메일 : cs@legalcare.ai

Copyright © LEGALCARE All rights reserved.